스타트업 아이디어는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?
- Y Startup School. by Kevin Hale스타트업 아이디어는 가설이다.그럼 스타트업에서는 어떠한 문제(Problem) 을 찾아야 하는가?스타트업의 이상적인 문제는?SISP, 해결책(Solution)에 단 하나의 조언스타트업에서의 인사이트(Insight) - ‘왜 성공할 것인가'에 대한 설명Founder advantage - 1 of 10Market advantage - 20% / yearProduct advantage - 10XAcquisition advantage - $0Monopoly advantage - Boolean마무리 1. Threshold Belief2. Miracle Belief
스타트업 아이디어는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? - Y Startup School. by Kevin Hale

스타트업은 성장이다.
얼마전에 본 영상이다.
오래전 업로드된 영상이고, 예전에 한 번 시청했던 영상이지만 다시 보니 한 번 정리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
그리고 제목과 같이 다른 주제로 한 번 정리해 보았다.
스타트업 아이디어는 가설이다.
스타트업 아이디어는 가설이며, 이 가설에 대해 아래 3가지 파트로 나누어서 설명해보자.
- Problem : 풀려고하는,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에 대한 설명
- Solution : 문제를 풀기위해 시도하는 실험들에 대한 설명
- Insight : 왜 이 가설에 대한 시도들이 성공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
그럼 스타트업에서는 어떠한 문제(Problem) 을 찾아야 하는가?
- Popular :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문제
- Growing : 점점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겪게될 문제
- Urgent : 지금 즉시 해결이 되어야할 문제
- Expensive : 해결하는데 많은 대가를 받을 수 있는 문제
- Mandatory : 반드시 풀어야만 하는 문제
- Frequent :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겪는, 많은 빈도로 발생하는 문제
풀고자 하는 문제가 위 모든 요소들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. 단, 최소 1가지는 충족해야 한다.
위 요소들을 적용해보자.
스타트업의 이상적인 문제는?
- 100만명 이상이 겪고 있는 문제
- 20% 이상의 연성장율을 보이는 시장에서 발생하는 문제
- 지금 바로 해결책이 필요한 문제
- 조 단위의 규모를 가진 시장에서 발생하는 문제
- 최근 법안이나 규제가 바뀌어 새로운 시장이 열린 기회를 포착하는 문제
-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될 해결책을 가진 문제
SISP, 해결책(Solution)에 단 하나의 조언
SISP - Solution In Search of a Problem
Y Combinator 에서는 해결책을 정해놓고 문제점을 찾는 것을 SISP 라고 부른다.
그리고 절대적으로 피하라고 한다.
예) 이제 NFT 가 뜨고 있다. → 이 기술로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찾아보자.
스타트업에서의 인사이트(Insight) - ‘왜 성공할 것인가'에 대한 설명
Unfair advantage, 차별화된 경쟁력
왜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우리팀이 최적의 스타트업이며, 다른 경쟁사들을 압도할 수 있는 우리 팀만의 경쟁력을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이다. 이 경쟁력은 성장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, 이 경쟁력을 통해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.
이 인사이트에 대한 설명없이 문제점과 해결책만 설명한다면 설득력이 떨어진다.
차별화된 경쟁력의 형태는 아래 5가지가 있다.
Founder advantage - 1 of 10
창업자가 해당 문제를 푸는데 있어 세계에서 10명 중 1명 정도로 특출난 능력을 가진 사람인가?
- 99%의 Y Combinator 출신 회사들은 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.
- 구글 엔지니어 경력, 마이크로소프트 PM 경력 등은 이 경쟁력에 해당하지 않는다.
Market advantage - 20% / year
매년 20% 이상씩 고속성장하고 있는 시장인가?
- 이 시장에 속해있다면 트렌드에 따라 성장할 확률이 높다.
- 다른 경쟁력보다 가장 약한 경쟁력임을 잊지말자.
Product advantage - 10X
해결책과 프로덕트가 타 제품 대비 10배 이상 나은것인가?
- 2-3배 나은 것도 나쁘다고 할 수 없지만, 고객과 시장은 그정도로 매력적이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.
Acquisition advantage - $0
얼마나 효율적으로 고객을 모을 수 있는가? 고객을 모으는데 드는 비용은 얼마인가?
- 많은 스타트업들이 키워드 광고 결과를 공유하며 CAC, LTV 등을 통해 설득하려고 하지만, 이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. 광고가 유일한 고객 획득 채널이었다면 오히려 장점이 아니다.
- 가장 매력적인 스타트업은 고객 획득 소모비용 없이 바이럴을 통해 성장하는 회사이다.
- 스타트업의 초기 스테이지는 이러한 관점에서, 비용없이 어떻게 고객을 획득할 수 있는지 테스트 해볼 수 있는 좋은 연습이 된다.
Monopoly advantage - Boolean
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더욱 더 강한 경쟁력을 갖추고, 경쟁사가 넘볼 수 없는 비즈니스가 형성되는가?
- 이러한 비즈니스의 좋은 예시는 마켓 플레이스에서 네트워크 효과를 가진 스타트업이다.
- 마켓 플레이스는 승자가 독식하는 형태를 가지고, 있고 거기에 네트워크 효과까지 더해진다면 쉽게 넘볼 수 없는 비즈니스가 구축된다.
마무리
마지막으로 영상에서 투자자로서 Kevin 이 스타트업 아이디어에 투자를 할 때 믿음을 가지는 부분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면서 마무리를 하겠다.
1. Threshold Belief
스타트업이 성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해내야 할 것을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이다.
예를 들어, 팀이 프로덕트를 만들어 낼 수 있는가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믿음을 가질 수 없게 된다.
2. Miracle Belief
스타트업이 본인들이 제시한 문제를 해결하여 궁극적으로 엄청나게 성장할 것이라는 믿음이다.
예를 들어, 엔지니어로 구성된 팀이라면 기술적인 부분이 아니라 세일즈를 얼마나 잘할 수 있는가, 스토리텔링을 얼마나 잘할 수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보게될 것이다.